프랑스 국제 결혼의 현실

같은 나라에서 같은 문화를 공유하고, 같은 언어를 쓰는 사람과 하는 결혼 생활도 항상 쉽지만은 않은데, 환경이 전혀 다른 나라에서 자라, 나와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과의 결혼은 생각보다 더 많은 노력과 희생, 양보를 필요로 한다. 프랑스 사람들에게 결혼이란 내 인생을 책임져 줄 사람을 찾거나 나에게 인생을 맡길 누군가를 찾은 일이 아니다. 그들에게 결혼은 정신적, 경제적으로 독립된 …

|프랑스 빠리 관광| 빠리 대중교통 수단과 비용

빠리는 서울 만큼 지하철과 광역전철 노선도가 복잡하다. 빠리 모든 시내가 1존에 해당하고, 빠리에 바로 붙은 초 근교는 2존, 점점 멀어질수록 3, 4, 5, 6존으로 정해져있다. 유명 관광지 대부분은 빠리 시내에 위치하나, 공항이나 디즈니 랜드, 특히 베르샤유 궁전은 교외에 있기 때문에 교통권을 따로 구매해야 한다. 참고로 빠리의 면적은 105km2로 서울 (605 km2)보다 약 6배정도 작고, 역 …

|프랑스 비자| 프랑스 사업자 또는 전문직 비자 신청

프랑스에서 사업체를 운영하길 원하거나 전문직 일을 하고자는 경우, 사업자나 전문직 비자 (Activité non salariée ou libérale 또는 self employed person or liberal activity)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프랑스 행정업무가 복잡하고 느리기로 유명한데, 사업자 비자신청이나 체류증 신청 부분은 난이도가 더 높습니다. 또한 프랑스에 오시고자 하면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의 불어는 필수~! 삶의 질이 달라집니다. 1. 사업자또는 전문직 …

|프랑스 산지직송 유기농| 프랑스에서 건강하고 저렴하게 잘 먹고 잘 살기

프랑스 가공식품 유학생과 사회초년생으로 보낸 20대에는 요리를 잘 못한다거나 바쁘다는 핑계로 밖에서 대충 샌드위치나, 파니니, 케밥, 피자, 맥도날드 햄버거 등으로 끼니를 때웠고, 장을 볼 때면 조리하기 편리하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공식품을 많이 샀었다. 특히, 치즈와 가공 햄(charcuterie-샤퀴트리)의 나라답게 매번 이런 음식들을 장바구니에 담았었다. 가공식품과 무(無)맛 음식에 대한 싫증 어느 순간부터 마트에서 사온 이런 가공식품들이 …

|프랑스 부동산| 빠리에서 내 집 마련하기 (매매, 집 사기)

프랑스에는 전세 제도가 없기 때문에 자가가 아니면 월세로 살 수 밖에 없다. 유학 기간 동안 매달 월세 내는게 아까워 하루라도 빨리 내 집을 마련하고 싶었다. 첫 직장을 구하고 생활이 어느정도 안정된 후, 때마침 주택 대출 이자도 서서히 내리기 시작해 본격적으로 집을 살 계획을 세웠다. 월세로 살고 있던 아파트가 방음이랑 단열이 아주 취약한 1930년대에 지어진 건물이라 …

프랑스 연봉 세전과 세후

프랑스에서 직장을 구할 경우 대부분 세전 금액 (salaire brut) 으로만 이야기 때문에, 4대보험 부담금과 세금이 얼마 정도인지 알아야 세후 월급을 지급받았을 때 당황하지 않는다. 직장인 세후 월급 (salaire mensuel net) 사기업 직장인의 경우, 세전 월급에서 4대 보험금 (건강, 연금, 실업, 사회보장세) 은 22%-25%를 차지한다. 공무원이나 공기업의 경우 4대 보험금은 세전 월급의 17%-20% 정도이다. 프랑스에서는 개인이 …

프랑스 공인 회계사 / Expert-comptable / French Certified Public Accountant

프랑스에서 공인 회계사 (expert-comptable)는 한국처럼 법으로 규제된 직업 중에 하나이다. 프랑스 공인 회계사가 되기 위해서는 1. 석사 수준의 DSCG (Diplôme Supérieur de Comptabilité et de Gestion)에 합격 2. 공인 회계사 협회 감독 아래 실무수습 과정 3년 : 실무수습은 회계 법인에서 해야하나, 최대 1년은 일반 회사나 외국에서 할 수 있다. 3. DEC (Diplôme d’expertise comptable)에 합격 …

일년마다 5주씩 ! 프랑스의 유급 휴가

프랑스에서 일하는 모든 직장인들은 일년에 25일, 즉 5주간의 유급휴가를 법적으로 보장받는다. 회사의 섹터에 따라 유급휴가를 더 주는 곳도 있는데, 은행쪽은 최장 9주까지 유급휴가를 직원들에게 보장해준다. 5주의 법정 유급휴가 뿐만 아니라, 시급을 받지않고 연봉을 받는 관리직들은 10일정도의 유급 휴가를 더 쓸 수 있게 해주는 회사들이 보편적이므로, 일년에 총 7주 정도의 유급휴가를 떠날 수 있다. 프랑스의 유급휴가 …

프랑스 현지 어학, 대학유학, 그리고 취업까지

어학연수 현지 어학연수를 온 목적에 따라 기간이 달라질 수 있지만 대학이나 대학원 입학을 목적으로 온 경우, 적어도 B2정도의 실력을 갖춰야 하므로 대체로 1년에서 2년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한국에서 불어를 조금이나마 배워왔을 경우, 현지에서 언어실력이 더 빨리 느는 듯 하다. 나의 경우 한국 대학에서 불어를 일년정도 배운 후, B1 턱걸이 실력으로 빠리에서 어학연수를 시작했고, C1수준까지 1년 정도 …